2025년 9월~11월 진행되는 상생페이백 사업! 월 카드 사용액 증가분의 20%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 신청 조건, 자격, 지급일자, 사용처까지 꼼꼼히 정리했으니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.
1. 상생페이백 사업이란?
상생페이백은 정부가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시행하는 제도입니다.
- 대상 기간: 2025년 9월 ~ 11월
- 환급 방식: 전년 같은 달 카드 사용액보다 소비가 늘어난 금액의 20%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
- 환급 한도: 월 최대 10만 원, 3개월간 최대 30만 원
예시) 작년 10월 카드 사용액이 100만 원이었고, 올해 10월에 130만 원을 썼다면 → 증가분 30만 원 × 20% = 6만 원 환급.
2. 신청 조건 및 자격 요건
-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및 외국인 (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)
- 2024년 카드(신용·체크) 사용 실적이 있어야 함
- 본인 인증 필수 (대리 신청 불가)
3. 신청 방법과 기한
- 신청 기간: 2025년 9월 15일(월) 오전 9시 ~ 11월 30일(일)
- 신청 방법: [상생페이백 공식 홈페이지(상생페이백.kr)]에서 온라인 신청
- 신청 횟수: 1회만 신청해도 3개월(9~11월) 소비 실적 자동 반영
4. 환급 금액 및 지급일자
- 지급 시기: 소비 증가분이 발생한 달의 다음 달 15일 순차 지급
- 지급 방식: 디지털 온누리상품권(앱 통해 수령)
예시)
- 9월 소비 증가분 → 10월 15일 지급
- 10월 소비 증가분 → 11월 15일 지급
- 11월 소비 증가분 → 12월 15일 지급
5. 사용 가능처와 주의사항
- 사용처: 전통시장·상점가 등 약 13만 개 가맹점
- 확인 방법: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 또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
- 온라인몰·배달앱·키오스크 결제는 판매자 확인이 불가해 소비실적 제외
- 현금, 계좌이체, 상품권, QR결제 등 카드 외 결제수단은 인정 안 됨
6. 소비쿠폰·상생소비복권과의 차이
- 소비쿠폰: 업종 제한 있음 (카페·패스트푸드 일부 불가)
- 상생페이백: 지역 제한 없음, 대기업·프랜차이즈 매장도 사용 가능
- 상생소비복권: 수도권 제외, 전통시장·소상공인 매장에서만 참여 가능
7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11월에 신청하면 9~10월 실적도 소급되나요?
→ 네, 11월 30일까지 신청 시 9월·10월 실적도 적용됩니다.
Q2. 온라인몰 결제는 포함되나요?
→ 아니요. 판매자 정보 확인이 어려워 제외됩니다.
Q3. 카드 외에 현금 결제분도 인정되나요?
→ 불가능합니다. 반드시 신용·체크카드 사용액만 해당됩니다.
8. 마무리: 꼭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
- 신청 기간: 9/15 ~ 11/30
- 환급율: 증가분의 20%
- 지급 방식: 디지털 온누리상품권
- 한도: 월 10만 원, 총 30만 원
- 신청을 늦게 해도 9월 소비분부터 소급 적용 가능
👉 따라서 평소보다 소비가 많았다면 반드시 신청해 환급 혜택을 챙기시길 바랍니다!
이번 주 가장 인기 많은 글 BEST 5
1등급 으뜸효율가전환급 신청기간·지급일 안내 (2025 최신)
2025년 8월, 드디어 기다리던 1등급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 신청이 시작됐습니다!에어컨, 세탁기, 냉장고 등 1등급 가전제품을 구입하셨다면 반드시 확인하세요.최대 30만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
e-cozy.co.kr
농어촌 주민수당 내년부터 5~6곳서 시작! 지원금·대상·시행일 총정리
2026년부터 2년간 농어촌 주민수당 시범사업이 인구소멸지역 5~6곳에서 시작됩니다. 월 15만~20만원 지급, 대상, 신청 방법, 본사업 전환 여부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 1. 농어촌 주민수당 시범사
e-cozy.co.kr
증여세 신고방법·기간·서류, 가산세 없이 신고하는 법
증여세 신고방법, 신고기간, 필요서류를 제대로 알지 못해 가산세를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.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증여세 신고 절차와 기한, 준비서류를 홈택스·세무서 기준으로 깔끔하게 정
e-cozy.co.kr
2차 민생회복 지원금 신청 시기·신청 날짜·지원 금액 총정리
2차 민생회복 지원금 신청, 언제부터 시작되고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요?정부의 추가 지원금 정책으로 2025년 9월 22일(월)부터 10월 31일(금)까지 진행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지원금은 1인당 최대 10
e-cozy.co.kr
자녀 증여세 신고방법, 기한,납부 및 미성년자 홈택스 셀프 증여 신고
자녀에게 현금이나 주식을 증여할 때, 증여세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가산세와 불필요한 세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특히 미성년자 증여세 신고는 면제 한도와 신고 기한을 지켜야 절세가
e-cozy.co.kr